
사업소개
세종지역혁신프로젝트란?
세종지역의 핵심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내 다양한 인적∙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종합적인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질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
사업소개
사업개요
- 사업대상광역자치단체 + 기초자치단체
- 목표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
- 구성방법연역적 접근(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개별 사업 발굴)
- 개수
- (광역) 시∙도별 3개
- (기초) 1개
- 세부사업 원칙적으로 프로젝트당 5개 이내
- 지원기간
- (광역) 2~4년
- (기초) 2~3년
- 지원액
- (광역) 전체 프로젝트에 최대 50억원
- (기초) 전체 프로젝트에 최대 10억원
- 평가총괄평가와 세부사업 평가 병행
(광역 시∙도는 총괄평가 결과에 따라 5단계로 구분) - 심사총괄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 자치단체에 대해 심사를 면제하고, 우수/부진 자치단체는 사업비 증∙감액 실시
사업유형
교육훈련사업
- 지역의 산업수요에 맞는 인력양성 및 지역차원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취업 연계형 교육훈련 사업
- 교육훈련은 80시간 이상 편성하여야하며, 일정·강사·강의시수 등 구체적인 훈련계획 수립 필수(훈련생은 훈련기간 중 여타 훈련에 동시참여 불가)
창업창직지원사업
- 창업·창직 기초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창업·창직을 지원하는 사업
- 창업·창직자가 창업초기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해당 창업분야와 관련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멘토링 구성(40시간 이상)
취업연계사업
- 지역 산업·인구구조적 특성 맞춤형 구인·구직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취업 지원
- 취업상담사, 컨설턴트(직업상담사)를 직업 고용하여 지역 내 구인구직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직접적인 취업지원
기업지원사업
- 지역 내 중소·중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고용 여건 개선을 위한 기업 지원
- 시제품제작, 사업화지원, 판로확대, 컨설팅 등에 대한 지원을 통해 기업 고용창출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업
기타사업(Sandbox유형)
-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업 운영을 통해 지역 일자리창출 및 노동시장 개선을 도모하고자 시행
- 특정 유형으로 정의하기 어려우나 그밖에 지역고용상황을 개선하고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사업
사업절차
- 사업방향 설정
- 사업발굴
- 사업 제출
- 사업 심사
- 사업 추진
- 지도점검
- 평가